< 나는 누구인가? >


< Wer bin ich? >

.

이제 고등학생이 된 둘째 아들의 기독교 이름을 생각해 낼 때 아내와 한동안 신경전을 벌였습니다.
제 제안은 토머스 모어입니다.
그는 유명한 영국 총리이자 유토피아라는 책을 쓴 위대한 학자이자 부유한 사람이었습니다.

.

그는 세상의 모든 좋은 것을 가졌음에도 불구하고 그것에 굴복하지 않고 스승의 자유 안에서 살았습니다.
내 세상 욕심에 딱 맞았다.
그러나 그 여자가 나와서 거절했습니다.
그것은 우리의 사랑스러운 아들에게 사형수의 이름을 알려주는 것이었습니다.
그는 영국의 헨리 8세와 앤 불린의 재혼을 반대하다가 사망했습니다.

.

나는 아내에게 그렇게 하라고 설득했다.
“대통령도 토머스 모어, 그리고 80대까지 꿋꿋하게 살아갈 옆방의 덕후 변호사도 토머스 모어 아닌가요?” 그제서야 아내가 동의했다.
살아서 복을 받고 죽은 뒤에도 하나님의 품에 들어가는 것은 우리와 같이 궁핍한 모든 사람의 꿈이자 소망입니다.

.

매주 일요일, 매일 아침 우리는 부지런히 성당 뜰에 들어가 이 꿈을 위해 계속 기도합니다.
그러나 바요나 시몬이 살아계신 하나님의 아들이라 일컬었던 우리 스승의 삶과 죽음을 보면 그리 복되신 분은 아닌 것 같습니다.

.

가난한 목수에게서 태어나 어부, 세리, 거지, 중풍병자, 창녀 등 비천한 사람들의 스승이 되셨고, 제자들을 배반한 죄로 3년 만에 십자가에 못 박히셨습니다.
그 앞에 서서 이 세상에서 잘 먹고 살며 죽어서도 ‘나’의 개성을 지키며 하나님 곁에서 영원히 웃는 것은 구원이 없다고 생각합니다.

.

한 선생님이 Simon Barjona에게 묻자 나는 궁금해졌다.
‘나는 누구인가?’ 말년에 침대에 누워있는 아버지의 아들, 아침마다 나를 따라 출근하는 어머니의 아들, 아내의 남편, 아들딸의 아버지. .. 베드로는 선생이 하나님의 아들이라고 고백했지만 선생은 너희도 하나님의 아들임을 인정했다.

.

한 끼만 굶어도 배고프고, 무한 욕심쟁이 존재의 한계에 얽매여 있지만, 나 역시 존재의 한계와 김모의 개성을 초월한 신의 아들이다.
. 참으로 좋은 소식입니다.

.

김태태, 존 변호사, 주교회의 사형폐지 소위원회 위원장

.